제1강 (3/21) “한반도는 전쟁터인가?”/ “한반도는 지정학적 저주의 땅인가” - 38선 이야기를 통해 한반도에 대한 지정학적 이해를 새롭게 생각합니다.
제2강 (4/4) “통일은 불가능하다?”/ 한반도 통일에 대한 여론과 최근 ‘적대적 국가관계’를 주장하는 북한의 남북관계 입장을 살펴봅니다.
제3강 (4/11) “북한이 생각하는 통일과 민족이야기”/ 분단 이후 남북통일에 대한 북한의 역사적 입장을 살펴보고 민족이론에 대해 고찰합니다.
제4강 (4/18) “남한이 생각하는 통일과 통합이야기”/ 분단 이후 남북통일에 대한 남한의 역사적 입장을 살펴보고 통합이론에 대해 고찰합니다.
제5강 (4/25) “주변국들은 남북통일에 대해 동의하는가?”/ 한반도 분단과 통일에 대한 미·중·러·일 등 주변 강대국들의 입장을 살펴봅니다.
제6강 (5/2) “늘어나는 국제분쟁 속에서 한반도 평화는 가능한가?”/ 최근 미중패권경쟁,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대만해협 위기, 기후문제 등 급변하는 국제질서 문제를 살펴보면서 한반도 평화의 가능성을 진단합니다.
제7강 (5/9) “독일 통일과 EU 결성”/ 분단국 통합 첫 번째 사례로 독일 통일과 유럽연합 통합과정에 대해 살펴봅니다.
제8강 (5/16) “베트남 통일과 아세안”/ 분단국 통합 두 번째 사례로 베트남 통일과 동남아시아국가연합 통합과정에 대해 살펴봅니다.
제9강 (5/23) “예멘 통일과 중동 문제”/ 분단국 통합 세 번째 사례로 예멘 통일과 중동문제에 대해 살펴봅니다.
제10강 (5/30) “한반도의 평화와 번영의 미래를 전망한다”/ 대북 인도적 지원사업,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등 한반도 통합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새로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질서를 전망합니다.
제11강 (6/6) “김포 애기봉에서 한반도 평화를 바라본다”/ 현충일 현장수업으로 경기도 김포 ‘애기봉 평화생태공원’와 강화도를 방문하여 한강하구 중립수역 건너편의 북녘을 바라보면서 평화를 소망해봅니다.
제12강 (6/13) “평화와 통일에 대한 우리들의 수다”/ 종합적인 토론의 장으로 남북평화재단 김영주 이사장, 한지혜 사무국장, 수강생 등과의 강의 전반에 대한 수다를 진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