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지구 어린이와 난민을 위한 후원 모금 📩 2023년 11월 월간남북평화에는
✔️ 세상의 평화 가자지구 어린이와 난민을 위한 후원 모금과 서안지구 올리브나무 지원 캠페인, 우크라이나 전쟁난민 긴급구호연대 대표단과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과의 만남,
✔️ 남북의 평화 남북평화협력아카데미 총 7강 내용을 모아 보내드립니다. |
|
|
이스라엘의 대량학살 공격으로 팔레스타인 가자지구는 전례 없는 위기를 겪고 있고, 가자지구 인구의 절반 가량인 115만 명 이상의 어린이가 생존의 위협에 처해 있습니다. 공습이 시작된 10월 7일 이후, 8241명의 어린 생명이 소중한 목숨을 빼앗겼고 그 이상의 어린이들이 부상을 당했으며 돌 무더기에 깔려 실종되었습니다. 숫자로 다 헤아릴 수 없는 무수한 꿈과 가능성이 이스라엘의 무차별 공습으로 스러졌습니다.
팔레스타인 어린이들이 묻습니다. "우리가 무엇을 잘못했나요?"
지금 당장, 폭력이 아닌 사랑으로 팔레스타인 어린이들의 몸과 마음을 돌볼 때입니다.
남북평화재단 팔레스타인위원회는 현지 협력 단체(가자YMCA, JAI)를 통해 가자지구 어린이들을 돌보고 난민들의 생활을 지원하고자 합니다.
평화를 염원하는 모든 분들께 호소합니다. ❤️ 지금, 가자지구 어린이들을 도와주세요!
|
|
|
- 현지기관 | 가자YMCA, JAI (Joint Advocacy Initiative)
- 모금계좌 | 우리은행 1006 001 378103 예금주: 남북평화재단
- 온라인후원 | bit.ly/support_gaza
- 지원방법
① 복구기간 중 가자지구 어린이 돌봄센터 운영 ② 난민, 주민 생활 물품 또는 비용 지원 (트라우마 치유 포함) ③ 이스라엘 점령 지역 올리브나무 식재 캠페인에 일부 지원
- 모금기간 | 1차 2023년 11월 29일~12월 31일 (전달 시기: 1월 중)
- 후원문의 | 02-6261-0613 koreapeace@daum.net 남북평화재단 팔레스타인위원회
|
|
|
팔레스타인 농민들에게 10월과 11월은 올리브 열매를 수확하는 가장 행복한 계절이지만, 올해는 가장 고통스러운 시기가 되었습니다. 무차별 공습이 시작된 이후, 서안지구 점령지역에서도 이스라엘 정착민들과 점령군들의 폭력이 급증했고, 수많은 올리브나무가 뿌리 뽑히고 불타고 훼손되었습니다.
팔레스타인 농민들에게 올리브나무는 생존수단 그 자체이고 올리브나무를 지키기 위한 농민들의 고군분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기에, 남북평화재단 팔레스타인위원회는 올해도 팔레스타인 농민들의 생존을 위한 올리브나무 캠페인을 이어갑니다.
팔레스타인 서안지구 농민들이 올리브나무를 다시 심고 땅을 지키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한 그루의 올리브나무로 연대와 지지를 보내주시길 요청 드립니다. |
|
|
- 현지기관 | JAI (Joint Advocacy Initiative)
- 모금참여 | 1그루당 3만원 ($25)
- 모금계좌 | 우리은행 1006 401 311054 예금주: 남북평화재단
- 온라인후원 | bit.ly/olivetree2024
- 모금기간 | 2023년 12월 1일 ~ 2024년 1월 31일 매년 2월 중 후원해주시는 분 성함으로 서안지구 아크라바 마을에 올리브나무를 심습니다. 후원정보 기재는 👉bit.ly/donors2024
- 후원문의 | 02-6261-0613 koreapeace@daum.net 남북평화재단 팔레스타인위원회
|
|
|
🕊️ 혹독한 겨울을 앞둔 우크라이나인들을 기억해주세요!
러시아 침공에 의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640여 일 지나면서, 피해국 우크라이나는 서서히 잊혀가고 있고 우크라이나인들은 러시아 침공 하에서 두 번째 혹독한 겨울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크라이나 전쟁난민 긴급구호연대(이하, 구호연대) 대표단은 지난 11월 29일,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관계자를 초대하여 우크라이나 현장 상황을 공유하고 긴급하게 필요한 사항에 대해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주한 우크라이나 대사관 1등 서기관 올렉산드르 코렌은 “한국은 우크라이나 전쟁 지역에 적극적으로 도움을 준 대표적인 나라”라며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했고 구호연대에서는 깨끗한 식수를 만들 수 있는 정수용품, 겨울철 난방기 가동을 위한 발전기, 부상자 수송을 위한 구급차 차량 등의 지원 필요성을 함께 논의했습니다.
남북평화재단은 구호연대를 통해 전쟁 중 러시아군의 성폭력과 폭행, 고문으로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입은 여성들에게 부인과, 신경과, 외과, 심리 치료 등 종합적인 의료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월 1,500USD) 또한, 우크라이나 남동부 드니프로의 국내실향민 인도주의 지원 허브 "Good morning, We are from Mariupol"에 구호물품을 전달하며 난민들을 돕고 있습니다. (월 1,500USD)
혹독한 겨울을 앞둔 우크라이나인들을 기억해주시고, 전쟁 종식과 평화를 위해 더욱 마음을 모아주시길 부탁 드립니다.
|
|
|
📞 우크라이나 전쟁난민 인도적 지원 ARS 060-700-0007 (1통화 5,000원)
우리은행 1005-001-405602 (예금주: 재단법인 남북평화재단)
|
|
|
남북평화재단에서는 지난 10월 10일부터 11월 23일까지 남북평화협력아카데미 평화ON클래스 총 7강을 진행하며 남북평화협력의 이익과 필요성을 전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지난 강연 내용과 영상을 아래에 보내드리오니, 다시 남북의 화해협력을 기다리고 준비하는 모든 분들께 유익한 정보가 되기를 바랍니다.
|
|
|
남북평화협력아카데미 스케치 ✏️
1강. 하마스-이스라엘 분쟁 발발: 국제정세의 변화와 한국의 선택 | 문정인 연세대 명예교수하마스-이스라엘 충돌의 원인과 양상, 그리고 현재 한반도 상황에 던지는 함의를 살펴보았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 강연 영상 보기
2강. 러-우크라이나 전쟁과 가자사태에 대한 이해와 시사점 | 박노벽 전 주 러시아대사 러-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전쟁의 공통점과 대비점,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되는 이유를 다각도에서 살펴보고 두 전쟁의 시사점과 과제로서 러북군사협력문제와 에너지 안보 문제에 대한 대응 필요성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3강. 미중전략경쟁과 한중관계 | 이희옥 성균관대 교수 미중 전략경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동북아 상황, 한중 무역 관계 등에서 한국이 취해야 할 선택지와 접근법(소다자주의),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등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4강. 북한의 주민생활: 같음과 다름 | 조경일 통일코리아협동조합 이사
북향민들이 남한 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겪고 있는 어려움과 차별에 대해 살펴보며 북향민의 사회통합을 위해 필요한 지원과 협력 방안은 무엇인지 논의했습니다. 👉 강연 영상 보기
5강. 경제안보시대와 한국경제의 미래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원장경제문제의 ‘안보화’가 낳은 부정적 측면, 한미일 3각 연대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손익을 면밀히 따져보았습니다. 함께 보실 자료 공유 드립니다. 👉 장기 저성장이 한국을 덮친다"
6강. 남의 통일인식과 통일운동의 성찰 | 이혁희 통일맞이 운영위원장
민족우선주의적 통일담론, 진보 정부의 등장, 대북헤게모니 프로젝트 문제, 급진민족주의 통일운동의 문제 등 시민사회 통일운동의 특징과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기여와 한계를 짚어보았습니다. 👉 강연 영상 보기
7강. 남북관계의 역사와 교훈 | 한겨레신문 이제훈 선임기자
1948년 남북한정부 설립부터 2023년까지 남북관계 75년 역사와 흐름을 되짚어보고 이를 통해 우리가 새길 교훈에 대해 들어보았습니다. 👉 강연 영상 보기 |
|
|
남북의 평화, 세상의 평화를 위한 노둣돌
남북평화재단 |
|
|
|